STO(토큰 보안, 보안 토큰)의 의미와 ICO, IEO, IDO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메이킹입니다. 최근 국내에서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토큰증권 제도화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미국, 일본, 유럽연합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STO를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은 계속 뒤쳐져 있는 것 같아요. 오늘은 STO가 무엇인지, 기존 IDO, IEO, ICO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간이 부족하신 분들은 아래 영상을 시청해주세요. 구독과 좋아요 감사드립니다.

STO란 무엇입니까? 블록체인의 특징인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해 자본시장법에서 사용되는 증권을 디지털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분산원장이란 참여자들이 거래정보를 검증하고 이에 동의한 원장을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공동으로 배포, 관리하는 기술이다. 신뢰성이 높고 위조나 변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부동산, 미술품, 음악 등 모든 실물자산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토큰으로 나누어 토큰증권 또는 시큐리티토큰이라고 합니다. 귀하가 투자하고 있는 가상자산이 아닌 실질가치 기준으로 발행되는 보안성을 갖춘 디지털 자산으로, 금융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허가한 디지털 자산입니다. 자본시장법과 동일한 규제를 받기 때문에 소액으로도 투자자 보호 규제 및 참여가 가능하고, 토큰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거래 단위 분할, 입출금, 효율성 등이 장점으로 꼽힌다.

특히, 기존에 전자증권으로 발행이 어려웠던 개별투자 등 다양한 권리를 토큰증권 형태로 쉽게 발행 및 유통할 수 있어 비정형 증권(투자계약)에 적합한 소규모 장외시장이 창출됩니다. 유가증권, 비화폐신탁 수익증권). 형성되고 활성화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위해 금융위원회는 향후 토큰증권 관련 법령 개정을 균형있게 추진하고, 이를 관리할 새로운 기관을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ICO, IEO, IDO, STO의 차이점 STO가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기존 투자 방식과의 차이점이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ICO – 프로젝트가 상장되기 전에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적은 금액으로 매수가 가능합니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상장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래그풀이 발생할 경우 큰 손실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대표적인 고위험, 고수익 투자입니다. IEO – 중앙화된 거래소에 상장되기 전에 판매하므로 거래소에 상장되므로 ICO보다 가격이 저렴합니다. 위험하기는 하지만 낮은 수익률도 보여줍니다. IDO – 탈중앙화 거래소를 통한 판매가 ICO의 대안으로 등장했습니다. 중앙화 거래소에 비해 위험성이 높지만, 탈중앙화이기 때문에 검증 없이 진행할 수 있어 위험성이 높은 투자입니다. STO는 정부가 개입하고 실물자산과 연결되기 때문에 리스크가 낮고 기대수익률도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신 위의 투자들에 비해 가장 안전하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제 시작이니 많은 관심과 투자가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들 관심있게 지켜봐주시길 바랍니다.